논문 및 소자 리뷰

[E-Drug] Further study: Wireless heater

추땡 2022. 1. 11. 15:57

Q. 일반적으로 Mg는 녹는 속도가 조금 빠른 편이라, 이를 제어하기 위해서 합금을 사용한다던지 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데, 이 논문에서는 그러한 녹는 시점을 조절하기 위한 노력을 한 부분이 있을지?

->본문에서는 따로 Mg-alloy를 사용하지 않고 Pure-Mg를 사용하였습니다. 논문에는 따로 설명되어 있지는 않지만, 제 생각으로는 Mg-heater를 감싸는 PLA(Polylactic Acid)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녹는 시점을 조절하였다고 예상됩니다. PLA 또한 물과 만나 젖산(Lactic Acid)으로 가수분해되는 bio-degradable material이며, PLA 캡슐에 의해 Mg-heater자체가 Body fluids와 직접 닿지 않게 되므로, 표면의 PLA가 먼저 가수분해된 후에 Mg가 분해되는 것을 이용하여 Mg-heater의 녹는 속도를 조절하였다고 생각됩니다

 

Q. Mg 히터를 위해 증착한 Mg의 두께는 어느정도 였는지

->3μm입니다. (본문 “3μm of magnesium was deposited using athermal evaporator”)

 

Q.그리고 그때 전도도는 어느정도 였는지

->패치 전체에 대한 전도도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, 각각의 물질들에 대한 전도성은 나타나 있었습니다. 마그네슘에 대한 열 전도성은 156W m-1 K-1입니다.